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귀걸이’ ‘코걸이’ ‘목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속담이 있다.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로, 한자 성어로는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이라 쓰기도 한다.   그런데 ‘귀걸이’는 ‘귀고리’로 써야 하는 게 아닌가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이 있을 듯하다. 예전에 표준어 규정이 바뀌기 전엔 ‘귀고리’가 바른 표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귀걸이’와 ‘귀고리’가 둘 다 널리 쓰여 모두 표준어로 인정됐다. 따라서 귀에 다는 장식품을 의미할 때는 ‘귀걸이’와 ‘귀고리’ 중 어떻게 표기할지 고민하지 말고 아무것이나 쓰면 된다.   날씨가 추울 때 쓰는 귀마개도 ‘귀걸이’라고 표기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엔 ‘귀고리’라고 써선 안 된다.     그렇다면 ‘코걸이’와 ‘코고리’는 모두 써도 되는 걸까. ‘코고리’는 사전에 없는 단어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잘 쓰이지 않는다. ‘코걸이’만 가능하다고 기억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목걸이’는 어떨까. ‘목걸이’와 ‘목거리’는 둘 다 써도 되는 낱말일까. ‘목걸이’와 ‘목거리’는 모두 사전에 등재된 표준어다. 그러나 두 표기는 뜻이 다르므로 내용에 따라 잘 골라 써야 한다. 목에 거는 장신구를 말할 때는 ‘목걸이’가 바른 표기다. 그렇다면 ‘목거리’는 무슨 뜻일까. 목이 붓고 아픈 병을 ‘목거리’라 하며, “약을 먹어도 목거리가 잘 낫지 않는다”와 같이 쓸 수 있다.우리말 바루기 귀걸이 코걸이 표준어 규정 모두 표준어 한자 성어

2024-08-07

[우리말 바루기] ‘산듯한’,‘산뜻한’

“오늘은 공기가 쾌청하고 산뜻하다.” “모처럼 바람이 산듯해 기분이 좋다.”   기분이나 느낌이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  ‘산뜻하다’라고 쓰곤 한다. 그런데 ‘산듯하다’라고 쓰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산뜻하다’는 표현이 더 많이 쓰이다 보니 ‘산듯하다’는 ‘산뜻하다’를 잘못 표기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산듯하다’ 역시 표준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산뜻하다’는 ‘산듯하다’보다 센 느낌을 주는 말이라고 풀이돼 있다.   ‘산뜻하다’보다 더 큰 느낌을 주는 단어도 있는데, 바로 ‘선뜻하다’이다. “선뜻한 바람이 부는 걸 보니 가을이 머지않았다” 등과 같이 쓰이는 낱말이다. 그렇다면 ‘산뜻하다’와 ‘산듯하다’가 모두 표준어이듯 ‘선뜻하다’와 ‘선듯하다’도 둘 다 바른 표현일까. 정답을 이야기하자면 ‘선듯하다’는 표준어가 아니다. 간혹 “선듯한 바람이 불어왔다” 등에서처럼 ‘선듯하다’라고 쓰인 문장을 볼 수 있지만 ‘선듯하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선뜻하다’로 고쳐 써야 바른 표현이 된다.   ‘산듯하다/산뜻하다’ 외에 ‘따듯하다/따뜻하다’ ‘뜨듯하다/뜨뜻하다’ ‘반듯하다/반뜻하다’ ‘번듯하다/번뜻하다’ 등도 둘 중 하나를 틀린 표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모두 표준어로 등재된 바른 표현들이니 고민하지 말고 둘 다 사용해도 된다.우리말 바루기 모두 표준어

2024-06-12

[우리말 바루기] ‘늦장 대응’, ‘늑장 대응’

어떤 사건이나 사고가 터지고 나서 원인을 분석하는 글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늦장 대응’ 또는 ‘늑장 대응’이다. 어떤 곳에는 ‘늦장 대응’, 또 어떤 곳에는 ‘늑장 대응’이라고 적혀 있다.   이처럼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가리켜 ‘늦장’ 또는 ‘늑장’이라고 한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둘 다 맞는 말이다. ‘늦장’과 ‘늑장’은 복수표준어이기 때문이다. 같은 뜻을 지닌 여러 말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을 복수표준어라고 한다. 그러니까 ‘늦장 대응’ ‘늑장 대응’ 모두 맞는 말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늦장’과 ‘늑장’ 외에도 복수표준어는 꽤 있다. 많은 사람이 즐겨 먹는 ‘짜장면’의 경우에도 원래는 ‘자장면’이 표준어였으나 ‘짜장면’이 널리 쓰이면서 ‘자장면’ ‘짜장면’ 모두 표준어로 인정됐다.   ‘가뭄’과 ‘가물’도 마찬가지다. 원래 오랫동안 계속해 비가 내리지 않아 메마른 날씨를 이르는 말은 ‘가물다’에서 파생된 ‘가물’이었다. 그러나 현대국어에서는 ‘가뭄’이 더 많이 쓰임으로써 ‘가뭄’과 ‘가물’이 복수표준어가 됐다.   이 외에 ‘태껸/택견, 품새/품세, 노을/놀, 소고기/쇠고기, 간지럽히다/간질이다, 봉숭아/봉선화, 냄새/내음, 복숭아뼈/복사뼈, 고까신/꼬까신, 뜨락/뜰’ 등도 복수표준어다.   ‘날개/나래, 눈초리/눈꼬리, 만날/맨날, 멍게/우렁쉥이, 먹을거리/먹거리, 메우다/메꾸다, 치근거리다/추근거리다, 애순/어린순, ~기에/~길래’ 등도 복수표준어로 함께 쓰이고 있다.우리말 바루기 대응 늦장 늦장 대응 늑장 대응 모두 표준어

2023-08-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